주택청약에는 가점제와 추첨제가 있습니다. 규제와 비규제 지역, 공공주택 여부, 주거전용면적 등에 따라 가점제와 추첨제 선정 비율로 달라집니다.
가점제와 추첨제 선정 비율
주거전용면적 | 투기과열지구 | 청약과열지구 | 수도권내 공공주택 |
85m² 초과 공공건설임대주택 |
그외 주택 |
85m² 이하 | 가점제 : 100% 추첨제 : 0% |
가점제 : 75% 추첨제 : 25% |
가점제 : 100% 추첨제 : 0% |
- | 가점제 : 40%(~0%) (시장 등이 40%이하로 조정가능) 추첨제 : 60~100% |
85m² 초과 | 가점제 : 50% 추첨제 : 50% |
가점제 : 30% 추첨제 : 70% |
가점제 : 50%(~0%) (시장 등이 50%이하로 조정가능) 추첨제 : 50%(~100%) |
가점제 : 100% 추첨제 : 0% |
가점제 : 0% 추첨제 : 100% |
(출처 : 청약홈)
위에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085m² 이하에서는 대부분 가점제 이기 때문에 가점이 낮은 경우에는 당첨의 기회가 거의 없습니다. 85m² 초과에서도 추첨제가 있지만, 규제지역 내 85m² 초과 물량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특히 정비사업이라면 투기과열지구인 서울 같은 경우 조합원들이 85m² 초과를 대부분 가져가기 때문에 일반분양 물량이 없거나 극소량입니다. 일반공급에서 85m² 초과 추첨이 있다고 해도 물량이 아주 소량입니다.
청약할 때 가점과 추첨의 비율, 주거전용면적의 일반과 특별분양, 공급물량 등을 정확하게 파악한 뒤 확률을 보고 청약을 넣어야겠습니다. 확률이 낮은 곳에 계속해서 청약을 넣어봤자 시간만 지나갈 뿐 당첨은 멀어집니다.
가점이 낮다면 비조정지역을 살펴보는 게 좋습니다. 85m² 이하에서도 추첨 물량이 60%이고, 85m² 초과는 100% 추첨으로 뽑습니다.
또한 투기과열지구, 청약과열지역 및 수도권, 광역시 지역에서는 추첨제로 입주자를 선정할 때 추첨제 대상 주택의 75% 이상을 무주택자에게 우선 공급하게로 했습니다. 무주택자라면 이 기회를 이용해야 겠습니다.
그럼 내 점수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을 해보야겠죠? 주택청약 가점 기준표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택청약 가점 기준표
청약가점제는 무주택기간, 부양가족, 청약통장 가입 기간을 모두 넣으면 가점 산정 기준표에 따라 점수가 계산됩니다.
가점항목 | 가점구분 | 점수 | 가점구분 | 점수 |
무주택기간 (가점상한 : 32점) |
1년 미만 | 2 | 8년 이상 ~ 9년 미만 | 18 |
1년 이상 ~ 2년 미만 | 4 | 9년 이상 ~ 10년 미만 | 20 | |
2년 이상 ~ 3년 미만 | 6 | 10년 이상 ~ 11년 미만 | 22 | |
3년 이상 ~ 4년 미만 | 8 | 11년 이상 ~ 12년 미만 | 24 | |
4년 이상 ~ 5년 미만 | 10 | 12년 이상 ~ 13년 미만 | 26 | |
5년 이상 ~ 6년 미만 | 12 | 13년 이상 ~ 14년 미만 | 28 | |
6년 이상 ~ 7년 미만 | 14 | 14년 이상 ~ 15년 미만 | 30 | |
7년 이상 ~ 8년 미만 | 16 | 15년 이상 | 32 | |
부양가족 수 (가점상한 : 35점) |
0명 | 5 | 4명 | 25 |
1명 | 10 | 5명 | 30 | |
2명 | 15 | 6명 이상 | 35 | |
3명 | 20 | - | ||
입주자 저축 가입기간 (가점 상한 : 17점) |
6월 미만 | 1 | 8년 이상 ~ 9년 미만 | 10 |
6월 이상 ~ 1년 미만 | 2 | 9년 이상 ~ 10년 미만 | 11 | |
1년 이상 ~ 2년 미만 | 3 | 10년 이상 ~ 11년 미만 | 12 | |
2년 이상 ~ 3년 미만 | 4 | 11년 이상 ~ 12년 미만 | 13 | |
3년 이상 ~ 4년 미만 | 5 | 12년 이상 ~ 13년 미만 | 14 | |
4년 이상 ~ 5년 미만 | 6 | 13년 이상 ~ 14년 미만 | 15 | |
5년 이상 ~ 6년 미만 | 7 | 14년 이상 ~ 15년 미만 | 16 | |
6년 이상 ~ 7년 미만 | 8 | 15년 이상 | 17 | |
7년 이상 ~ 8년 미만 | 9 | - |
(출처 : 청약 홈)
직접 손으로 계산해 볼 수도 있겠지만, 친절하게 자동 계산해주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청약 홈 사이트에서 나의 청약 점수 계산 메뉴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나의 청약점수 확인하기
청약홈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모집공고단지 청약연습 > 청약가점계산기" 를 클릭합니다.
청약홈 홈페이지 : https://netfunnel.applyhome.co.kr/
무주택기간을 선하여 입력을 하는데요, 본인 혹은 배우자를 기준으로 선택하며 미혼인 경우 만 30세부터 무주택기간을 계산하고, 결혼한 경우 결혼일부터 무주택기간으로 계산을 합니다.
부양가족 항목은, 주민등록 등본상 기재된 가족을 기준으로 입력합니다.
청약통장 가입일을 입력합니다.
다음과 같이 청약가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청약가점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청약, 생애 단 한번 쓸 수 있는 특별 공급에 도전해 보세요! (0) | 2021.08.18 |
---|---|
청약 당첨 자금 조달 계획 시뮬레이션 하기 (0) | 2021.08.18 |
청약통장 없어도 새 아파트에 살 수 있다? (0) | 2021.08.17 |
비조정지역에서 가능한 청약 특급 노하우 (0) | 2021.08.17 |
부동산 투자의 흐름, 주택 시장에도 사이클이 있다. (0) | 2021.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