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부동산 공부를 하기 위한 유용한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지도를 보는 게 훨씬 편하게 쉬운 좋은 사이트가 많이 있습니다. 기존에 알고 있는 청약홈 이외에 부동산과 친해질 수 있는 4개의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1.부동산지인
https://aptgin.com
1. 지역분석
부동산지인 사이트의 지역분석 탭을 들어가면 시장 강도와 가격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나옵니다.
2. 빅데이터 지도
빅데이터 지도를 들어가면 주거, 교육, 교통, 직장 메뉴가 있습니다. 직장을 누르면 해당 지역의 직장에 아이콘이 표시가 됩니다. 그 아이콘을 클릭하면 그곳의 종사자 수는 물론 인당 소득까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엄청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수요/입주
지역을 선택하고 검색을 누르면 2000년부터 최근까지 입주 물량 그래프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화면 하단으로 내리면 지역별로 수요/입주의 과잉, 초과, 부족, 적정 등의 수치가 모두 나와 있어 한눈에 전국의 수요/입주 물량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4. 지인 빅데이터
지역 시장 강도를 비롯해, 거래량, 전출입, 인구/세대수 그리고 가장 중요한 미분양 물량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분양 물량이 늘어난다면 시장 하락의 전조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겠네요. 이 정보를 참고해서 시장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호갱노노
https://hogangnono.com
1. 매물 확인
단지를 검색하면 과거 실거래가 차트와 함께 현재 매물 차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분위기 지도
분위기 지도는 아파트의 가격이 높은 순에 따라 색깔별로 표시한 지도입니다 가격이 높으면 파랑, 그다음은 파랑, 노랑, 회색 순입니다. 전혀 모르는 지역에 임장을 가기 전에, 분위기 지도를 보고 동네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겠네요.
3. 학원가
학군은 아파트값의 매우 중요한 요인입니다. 서울/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도 마찬가지이죠. 특히 지방에서는 학군이 교통보다 더 중요한 조건이라고 합니다. 학원가 메뉴를 클릭하면 전국 지역별 학원 개수가 나옵니다. 서울의 최대 학군인 대치동에는 학원이 무려 766개나 나옵니다.
4. 개발 호재
부동산 공부에 있어 개발호재는 무조건 봐야 하는 정보입니다. 각종 철도, 도로, 건설 지역을 한분에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GTX, 신분당선 연장, 신안산선, 고양선, 월판선, 9호선 연장, 위례신사선 등 핫한 노선들이 지도에 모두 표기가 되어 있어 앞으로 교통이 좋아질 곳들을 한눈에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4. 인구
인구 메뉴를 클릭하면 각 지역의 전출/전입 경로가 보기 쉽게 나옵니다. 빨간색은 전출, 파란색은 전입을 의미합니다. 인구이동 현황을 참고해서 해당 지역의 전세 물량 등을 예측해 볼 수 있겠습니다.
3. 네이버 지도, 카카오지도맵
네이버지도와 카카오지도에서 모두 거리, 면적, 반경, 지적 편집도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1. 거리/면적/측정
네이버 지도의 거리측정, 면적 측정, 반경 측정 기능을 활용하여 해당 지역의 크기를 간음해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 분양 정보에서 제공하는 면적 정보, 도보거리 등을 실제 지도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2. 지적 편집도
네이버 지도에 지적편집도 기능이 있는데요, 지번/경계, 개발, 용도, 국토개발 등에 따라 색깔로 구분이 되어 표시가 됩니다. 핑크색 계열은 사업지역을 나타내고 파란색은 공업지역을 나타냅니다. 이 두 곳은 모두 일자리를 표시하는 건데요, 일자리가 많다는 건 좋은 입지의 기본입니다.
4. 국제교통 통계누리
https://stat.molt.go.kr
"통계 마당 > 분야별 통계 > 주택 > 승인통계 > 주택건설실적 통계(인허가) > 부문별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으로 들어가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1. 전국 인허가 물량
말 그대로 국토부에서 건설사들에게 아파트를 짓도록 인가 및 허가를 해준 물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허가 물량이 많으면 분양할 게 많다는 뜻이겠죠.
2. 지역별 입주 물량 및 미분양
전국 지역별 수요량 및 입주물량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요량과 입주물량 차이가 많이 나면 공급이 많이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마찬가지로 미분양 현황도 그래프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부동산 데이터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하려는 지역이 투기과열지구인가? 규제지역 기준 (0) | 2021.08.17 |
---|---|
부동산 청약 시 인근 지역의 범위는 어떻게 될까요? (0) | 2021.08.17 |
부동산 청약, 주택 소유 기준(무주택자 기준) (0) | 2021.08.16 |
부동산 청약통장에 대해 알아 볼까요? (0) | 2021.08.16 |
부동산 청약, 중소기업 특별공급을 알고 계신가요? (0) | 2021.08.16 |
댓글